블로그 이미지
New life !
johnworld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total
  • today
  • yesterday
2005. 5. 21. 15:09 Bible Guide

1. 단 11:3,4 본문에서 '한 능력있는 왕'으로 호칭된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이루어질 헬라 제국의 발흥과 그의 죽음으로 발생할 제국의 분열을 기술하고 있다.

알렉산더 사후의 헬라 제국에 대한 예언이 세가지 측면에서 언급되고 있다.
(1) 그 자손에게로 돌아가지도 아니할 것이요 - 알렉산더 대왕과 바사의 공주 록산나(Roxana) 사이에 태어난 알렉산더 4세는 카산더에 의해 살해되었으며, 알렉산더 대왕의 이복 형제로 정신이상자였던 필립 아르히다우스(Philip Arrhidaeus) 역시 암살. 이로써 알렉산더의 혈통은 전혀 남지 않게 되었다.
(2) 자기가 주장하던 하던 권세대로도 되지 아니하리니 - 전세계를 자신의 수하에 두겠다는 알렉산더의 교만과 정복 야욕이 죽음 앞에서 허망하게 사라졌다.
(3) 이외의 사람들에게로 돌아갈 것임이니라 - 곧 헬라 제국이 알렉산더의 막료였던 4명의 장군에 의해 분할되었다. 네 개의 나라 즉
- 안티파터(Antipater)와 카산더(Cassander)의 헬라와 마게도냐(Greece-Macedona)
- 리시마쿠스(Lysimachus)의 트라게와 소아시아(Thrace, Asia Minor)
- 소아시아와 팔레스틴을 제외한 셀류쿠스(Selecus)의 아시아(시리아)
- 톨레미(Ptolemy)의 애굽과 팔레스틴
을 의미한다.

2. 단 11:5 헬라 제국에서 분열된 네 왕조 중 남방 왕조인 톨레미 왕조와 북방 왕조인 셀류쿠스 왕조사이의 전쟁과 그에 부가되는 여러 사건의 예언이 20절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예언은 BC 250-190 년 사이에 실제적으로 성취되었다.

참고할 사항
단 7:6 절에 표현된 표범은 알렉산더 대왕의 헬라 제국을 의미한다.

단 7:4 절에 표현된 사자와 날개는 니느웨와 바벨론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날개 달린 사람의 형상과 유사한 것으로 곧 바벨론 제국을 상징한다. 이후에 나오는 "그 날개가 뽑혔고... 사람의 마음을 받았으며" 는 느부갓네살 왕적 위상의 상실(병을 얻어 7년 동안 짐승처럼 지낸 것)과 동시에 바벨론 제국의 영광과 국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적절하다.

단 7:5 절에 언급된 곰은 사자 다음으로 힘이 센 짐승으로 바벨론 제국의 뒤를 이어 대제국을 형성하게 될 메대와 바사 제국을 상징한다. "몸 한편을 들었고... 세 갈빗대가 물렸는데.."는 메대와 바사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제국에서 바사(페르시아)제국으로 단일화될 것임을 가리킨다. 또한 '그 입에서 세 갈빗대가 물렸다'는 것은 단일화 된 바사 제국의 고레스와 캄비세스가 행한 일련의 정복 사역, 곧 리디아(BC 546), 바벨론(BC 539), 애굽(BC 535) 등에 대한 정복 사실로 이해하는 것이 적당하다.

단 7:7 절에 언급된 넷째 짐승은 로마 제국을 상징한다.

posted by johnworld
2005. 5. 21. 15:09 Bible Guide

1. 단 11:5 "남방의 왕은 권세를 떨치리니" - 여기서 '남방의 왕'은 이집트 지역을 통치하는 톨레미 1세(Ptolemy 1) 로서 '그가 강하다' 는 것은 이 톨레미 왕조가 BC 3C 내내 팔레스틴에 대한 치리권을 가졌던 사실을 염두에 둔 것이다.

또한 '그 군들 중에 하나'는 분열된 네 왕조 중의 하나를 지시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시리아 왕국의 초대 왕인 셀류쿠스 니카토르(Seleucus Nicator)를 가리킨다.

그의 권세가 심히 커진다는 것은 본래 톨레미 왕조보다 미약한 세력으로 출발한 그가 이후 지속적인 정복 사역으로 BC 200 년경 톨레미 왕조의 통지하에 있는 팔레스틴을 정복하고 인도에까지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막강한 세력으로 군림하게 된 사실을 가리키는 것이다.


2. 단 11:6 시리아와 애굽의 전쟁.
이 절은 셀류쿠스 왕조와 톨레미 왕조가 서로 동맹을 맺기 위해 시도했던 정략적인 결혼이 실해할 것임을 언급한 것이다.

이 절의 사건은 BC 250년 톨레미 2세인 필라델푸스(Philadelphus)가 그의 딸 베레네스(Berenice, '남방왕의 딸'로 기록되어 있음)를 셀류쿠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2세인 데오스(Theos, '북방 왕'으로 기록되어 있음) 와 결혼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안티오쿠스 2세는 벨레네스와 결혼하기 위해 본처인 라오디스(Laodice) 와 이혼을 하였다.

전처인 라오디스는 자신의 아들이 계승권을 박탈당하자,베레네스와 그녀의 아이를 살해하고 결국에는 안티오쿠스 2세 데오스마저 독살시킴으로써 이 정략적인 결혼이 실패로 돌아간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이후 실권을 장악한 라오디스가 베레네스의 동조자들('그를 데리고 온자... 도와주던 자'로 기술되어 있음)을 제거하고 자신의 아들을 왕으로 즉위시켰던 바, 그가 바로 셀류쿠스 2세인 셀류쿠스 칼리쿠스(Seleucus Callinicus)이다.


3. 단 11:7 시리아와 애굽의 전쟁
본문은 6절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한 보복의 악순환이 시작되는 부분이다.

톨레미 2세 필라델푸스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톨레미 3세 유엘게테스(Euergetes, '공주의 본족에서 난 자 중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음)가 BC 246년 누이 베레네스의 복수를 위해 북방 왕조 곧 시리아의 셀류쿠스 칼리니쿠스를 공격하여 6년간(BC 246-241) 전쟁을 한 사실을 언급한 것이다.

이 전쟁에서 그는 자기 누이를 살해한 라오디스를 죽여 누이의 원수를 갚고 수많은 전리품, 곧 4,000달란트의 금과 2500여개의 우상들을 이집트로 탈취해 갔다.이러한 전리품은 이미 바사와 캄비세스가 BC 524년 애굽에서 탈취해갔던 것들로 보여진다.

특별히 우상(신상)의 탈취는 고대에 있어 정복자들의 일반적인 관습으로 자기들 신의 우월성을 입증하려는 의도에 기인한 것이다.

8절에 기술된 '몇 해 동안은 그가 북방 왕을 치지 아니하리라' 는 BC 240년 톨레미 3세가 셀류쿠스 2세와 평화조약을 체결하게 될 것임을 예언한 것이다.


4. 단 11:9 "북방 왕이 남방 왕의 나라로 쳐들어 갈 것이나 자기 본국으로 돌아가리라' - 북방 곧 시리아의 셀류쿠스 2세 칼리니쿠스가 7,8절에 언급된 톨레미 3세 유엘게테스의 시리아 침공을 보복하기 위해 평화 조약을 파기하고 남방의 애굽을 침공한 사실을 가리킨다. 그러나 셀류쿠스 2세는 오히려 톨레미 3세에게 대패한 후 소수의 남은 군대를 이끌고 본국으로 퇴각했다.

posted by johnworld
2005. 5. 21. 15:08 Bible Guide

1.

애굽왕조(남방)

통치기간

관련구절

시리아 왕조(북방)

통치기간

관련 구절

톨레미 1세 소테르BC 322-2855a절셀류쿠스 1세 니카토르BC 312-2805b절
톨레미 2세 필라델푸스BC 285-2466절안티오쿠스 1세 소테르BC 280-261-
---안티오쿠스 2세 테오스BC 261-2466절
톨레미 3세 유엘게테스BC 246-2217-9절셀류쿠스 2세 칼리니쿠스BC 246-2267-9절
---셀류쿠스 3세
소테르 케라우누스
BC 226-22310절
톨레미 4세 필로파토르BC 221-20310-12절안티오쿠스 3세 마구누스BC 223-18710-19절
톨레미 5세 에피파네스BC 203-18114-17절셀류쿠스 4세 필로파토르BC 187-17520절
톨레미 6세 필로메토르BC 181-14625-28절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BC 175-16321-45절


2. 단 11: 2절 바사(Persia)에서 또 세 왕이 일어날 것이요 - 여기서 '세 왕'은 초대 왕 고레스 이후에 등장할 캄비세스(Cambyses, BC 529-522)
스멜디스(Smerdis, BC 522-521)
다리오 히스타스피스(Darius Hystaspis, BC 521- 486) 를 가리킨다.

그 후에 넷째는 그들보다... 헬라를 칠 것이며 - 위에 언급된 '세 왕'에 이어 등장할 네째 왕은 에스더서에서 '아하수에로'로 언급된 크레르크세스(Xerxes, BC 486-465) 이다. 그는 즉위 후 그의 부왕 다리오가 실패한 헬라 정복 사업을 물려받아 막강한 경제적, 군사적 힘을 바탕으로 마게도냐를 침공했다. 그의 이러한 정복 사역은 초기에는 성공한 듯 보였으나 살라미스(Salamis) 전투에서 헬라의 알렉산더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였다. 그 후 플라타이아(Plataea) 전투를 끝으로 페르시아 제국은 멸망당했다.

3. 단 11:3 절 '한 능력있는 왕' - 알렉산더 대왕.
posted by johnworld